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금융교육29

ETF, 펀드, 리츠 –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간접투자 3종 세트 주식을 처음 시작하려는 사람들 대부분이 이런 고민을 합니다. “어떤 주식을 사야 할지 모르겠어…”, “내가 직접 고르기엔 아직 무서워.”이럴 때 딱 좋은 것이 바로 ETF, 펀드, 리츠(REITs)입니다. 이 셋은 여러 종목을 모아둔 ‘묶음 상품’으로, 간접투자 입문자에게 안성맞춤이죠.---1. ETF란 무엇인가요?ETF(상장지수펀드)는 여러 주식을 하나로 묶어서 만든 주식 상품입니다.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고, 하나만 사도 분산투자가 되는 장점이 있죠.예시‘KODEX 200’ ETF를 사면, 코스피 상위 200개 기업에 자동으로 투자테마형 ETF: 2차전지, 반도체, 클린에너지 관련 기업만 모은 ETF도 있음장점수수료 저렴매매 간편 (HTS, MTS로 바로 거래)분산투자가 자동으로 됨즉, ETF는.. 2025. 7. 15.
양적완화와 긴축정책 – 경제의 숨을 조절하는 두 개의 심장 뉴스에서 “중앙은행이 양적완화를 시작했다”, “이제 긴축정책으로 전환한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이 두 용어는 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이라는 경제의 핵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 같지만, 사실은 ‘돈을 더 풀 것이냐, 줄일 것이냐’의 차이예요.오늘은 양적완화와 긴축정책이 무엇인지,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예시 중심으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1.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란?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대량으로 풀어 경기를 살리는 정책입니다. 쉽게 말해, ‘경제가 너무 안 좋아서 돈을 더 많이 돌게 하자!’는 조치예요.어떻게 돈을 푸나요?중앙은행이 국채(정부가 발행한 채권)를 사들임그 대가로 은행이나 금융회사에 현금을 줌은행에 .. 2025. 7. 13.
통화정책과 환차익 – 나라가 돈을 조절하는 방법, 우리가 돈을 버는 기회 경제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단어들 중 ‘통화정책’과 ‘환차익’이 있습니다. 겉보기엔 거창한 말 같지만, 실제로는 우리 일상과 투자에 매우 밀접한 개념이에요.오늘은 나라가 돈의 흐름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그리고 환율 변동을 통해 개인이 어떻게 수익을 얻는지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드릴게요.---1. 통화정책이란 무엇인가요?통화정책(Monetary Policy)은 나라가 경제 상황에 맞게 돈의 흐름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정책은 주로 중앙은행(한국은 한국은행)이 수행합니다.목적경기 활성화 또는 억제물가 안정고용 창출주요 수단기준금리 조절 – 돈을 빌리는 비용을 높이거나 낮춤시중 유동성 조절 – 시장에 돈을 더 풀거나 회수함지급준비율 조정 – 은행이 보유해야 할 예금 비율---2. 통화정책의.. 2025. 7. 12.
중앙은행, 기준금리, 이자율 – 돈의 흐름을 움직이는 세 가지 키워드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뉴스를 보면, 집값이 떨어진다거나 대출이 힘들어진다는 말이 따라옵니다. 이 모든 것의 중심엔 중앙은행, 기준금리, 이자율이 있습니다.이 세 가지는 우리가 매일 쓰는 돈의 흐름을 결정짓는 핵심 개념입니다. 오늘은 쉽게 풀어보면서,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1. 중앙은행이란 무엇인가요?중앙은행은 나라의 돈을 관리하고 경제를 조절하는 핵심 기관입니다.대표적인 중앙은행대한민국 – 한국은행미국 – 연방준비제도(Fed)유럽 – 유럽중앙은행(ECB)중앙은행의 주요 역할돈 찍기 – 지폐와 동전을 발행하는 유일한 기관기준금리 결정 – 경제 상황에 맞춰 이자율 조정물가 안정 – 인플레이션 조절금융기관 감독 – 은행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관리쉽게 말하면, 중앙은행은 .. 2025. 7. 11.
자본과 자산, 회사의 돈을 보는 두 가지 눈 “이 회사는 자산이 1조야!”, “자본금이 500억이래.” 주식이나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자본’과 ‘자산’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둘 다 ‘돈’과 관련된 개념처럼 보이지만, 그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개념을 쉽고, 예시 중심으로 풀어드릴게요.---1. 자산이란 무엇인가요?자산(Assets)은 회사(또는 개인)가 가지고 있는 모든 가치 있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내가 가진 모든 재산 목록”이라고 할 수 있어요.자산의 예시현금예금부동산기계, 차량매출채권(받아야 할 돈)민수 씨의 자산 예시통장에 500만 원자동차 한 대 (1,500만 원)월세 보증금 1,000만 원→ 민수 씨의 총 자산은 3,000만 원입니다.기업도 마찬가지예요. 회사에 있는 모든 현금, 공장, 부동산, 재고.. 2025. 7. 9.
매출, 이익, 부채 – 숫자로 읽는 회사의 진짜 모습 “이 회사, 잘 나간다며? 매출이 엄청나다던데?” 하지만 ‘매출이 많다 = 돈을 많이 번다’는 뜻은 아닐 수 있어요. 회사의 진짜 건강 상태를 알려면 매출, 이익, 부채 이 세 가지를 함께 봐야 합니다.오늘은 이 세 가지 용어를 아주 쉽게 풀어 설명하고, 투자자 입장에서 무엇을 주의 깊게 봐야 할지도 함께 알려드릴게요.---1. 매출이란 무엇인가요?매출(Revenue, Sales)은 회사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벌어들인 전체 수입을 뜻합니다. ‘팔린 금액의 총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예시로 쉽게 말하면?민수 씨가 김밥 가게를 운영합니다.김밥 1줄 3,000원 × 하루에 100줄 판매 → 하루 매출 = 300,000원이처럼 매출은 돈이 들어온 총액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죠. 물건을 만들거나 .. 2025. 7.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