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1. 시대적 배경 (1970년대 한국 사회)
1970년대 한국은 산업화와 경제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도, 여전히 생활 수준이 높지 않았던 시기였습니다.
농촌과 도시 간 격차가 컸으며, 정부의 새마을운동을 통해 생활 환경 개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 한국 사회의 특징
- 산업화로 도시 인구 증가 – 시골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많았음.
- 새마을운동 시행 – 농촌 환경 개선 및 생활 수준 향상 추진.
- 대가족 제도 – 조부모, 부모, 형제자매가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았음.
- 절약과 근면이 강조됨 – 부모님은 자녀들에게 "아껴 써야 한다"는 말을 자주 하셨음.
- 학교 교육 강화 – 모든 아이들이 국민학교(현재의 초등학교)에 입학해야 했음.
✅ 2. 1970년대 초등학생
의(衣) – 어떤 옷을 입었을까?
- 교복 없이 자유로운 복장 – 국민학교에서는 교복이 없었고, 평상복을 입고 다녔음.
- 형제들의 헌옷을 물려입는 문화 – 새 옷을 사기보다는 형·누나 옷을 물려받는 경우가 많았음.
- 고무신과 운동화 – 많은 아이들이 고무신을 신었고, 일부는 흰색 체육화를 신기도 했음.
- 겨울에는 두툼한 솜옷 – 누빔 재킷과 솜바지를 입고 다님.
식(食) – 어떤 음식을 먹었을까?
- 보리밥 & 잡곡밥 – 쌀이 부족해 보리밥이나 혼합곡을 먹는 경우가 많았음.
- 도시락 싸기 – 학교에 급식이 없어, 학생들은 도시락을 싸서 다님.
- 반찬은 단출함 – 김치, 계란후라이, 멸치볶음, 장조림 등이 대표적.
- 겨울철 난로 위에 도시락 데우기 – 양철 도시락을 난로 위에 올려 밥을 따뜻하게 먹었음.
주(住) – 어떤 집에서 살았을까?
- 한옥, 슬레이트 지붕집 – 아파트보다는 단층 주택이나 한옥이 일반적.
- 재래식 화장실 – 대부분 푸세식 화장실을 사용했으며, 실외에 위치한 경우가 많았음.
- 난방은 연탄과 아궁이 – 겨울에는 연탄난로 또는 구들장 난방을 사용했음.
✅ 3. 1970년대 초등학생의 하루
아침
- "일찍 일어나라!" – 부모님이 깨우면 바로 준비하고 등교.
- 책가방은 천가방 또는 나일론 가방 사용.
학교 생활
- 오전 9시~오후 3~4시 수업.
- 체벌이 존재 – 손바닥 맞기, 엎드려뻗쳐 등.
- 쉬는 시간에는 고무줄놀이, 딱지치기, 구슬치기 등.
하교 후 생활
- 친구들과 골목에서 놀기 – 공기놀이, 비석치기 등.
- 숙제는 받아쓰기, 구구단 외우기 정도.
✅ 4. 1970년대 부모님이 자주 하던 말
- "밥 한 톨도 남기지 마라!" – 절약 강조.
- "구구단 다 외웠어?" – 학습 중요.
- "학교 갔다 오면 바로 집에 와라!" – 안전 강조.
✅ 5. 1970년대 초등학생의 특징 정리
구분 | 내용 |
---|---|
학교 생활 | 체벌 존재, 필기 위주 수업 |
복장 | 교복 없음, 헌옷 물려입음 |
주거 | 한옥, 슬레이트 지붕 |
즉, 1970년대 초등학생들은 물질적으로 풍족하지 않았지만, 공동체 문화 속에서 따뜻한 정을 나누며 성장했던 세대였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