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산하지 않는 나라의 미래: 대한민국 인구 위기 보고서
2023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명.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한 여성이 평생 아이를 한 명도 낳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동시에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의 18%를 넘어섰습니다. 대한민국은 초고속으로 늙어가고 있습니다.
왜 아이를 낳지 않을까?
청년들에게 물었습니다. "왜 결혼하지 않나요? 왜 아이를 낳지 않나요?" 대답은 명확했습니다:
1. 주거 비용
"집값이 너무 비쌉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10억 원이
출산하지 않는 나라의 미래: 대한민국 인구 위기 보고서
2023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명.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한 여성이 평생 아이를 한 명도 낳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동시에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의 18%를 넘어섰습니다. 대한민국은 초고속으로 늙어가고 있습니다.
왜 아이를 낳지 않을까?
청년들에게 물었습니다. "왜 결혼하지 않나요? 왜 아이를 낳지 않나요?" 대답은 명확했습니다:
1. 주거 비용
"집값이 너무 비쌉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10억 원이 넘습니다. 청년들은 전세금 마련도 어려운데, 결혼과 출산은 엄두도 못 냅니다. 내 집 마련은 꿈도 꾸지 못하는 세대가 어떻게 아이를 키울까요?
2. 교육비 부담
아이 한 명을 대학까지 키우는 데 평균 3억 원이 든다고 합니다. 사교육비, 대학등록금, 각종 경험 비용까지. "내 인생도 힘든데 아이 인생까지 책임질 수 없다"는 것이 청년들의 솔직한 심정입니다.
3. 경력 단절
여성들은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을 두려워합니다. 출산휴가, 육아휴직 제도가 있어도 실제로는 눈치를 봐야 하고, 복직 후 승진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일과 삶의 균형 불가능
한국의 장시간 노동 문화 속에서 육아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저녁 8시, 9시에 퇴근하는 부모가 어떻게 아이를 돌볼 수 있을까요?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의존하는 것도 이제는 한계입니다.
5. 개인의 삶을 중시
"나 자신의 행복도 지키기 어려운데, 아이까지 낳아서 희생하고 싶지 않습니다."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결혼과 출산은 선택사항이 되었습니다.
빠르게 늙어가는 대한민국
출산율은 낮아지고 평균 수명은 늘어나면서,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이것이 왜 문제일까요?
- 경제 활력 저하: 일할 사람이 줄어들면서 경제 성장이 둔화됩니다
- 사회보장 부담 증가: 연금, 의료비 등 노인 부양 비용이 급증합니다
- 지방 소멸: 젊은이들이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지방 도시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 세대 갈등 심화: 적은 수의 청년이 많은 노인을 부양하면서 세대 간 갈등이 커집니다
지방은 이미 사라지고 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절반 이상이 소멸 위험 지역입니다. 학교는 문을 닫고, 상점은 폐업하고, 버스 노선은 사라집니다. 20대, 30대는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떠나고, 고향에는 노인만 남습니다.
경북 의성군의 한 초등학교는 전교생이 12명입니다. 전남 신안군의 한 섬에는 70대 노인만 7명이 살고 있습니다. 이것이 대한민국 지방의 현실입니다.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나?
정부는 지난 17년간 280조 원을 저출생 대책에 쏟아부었습니다. 출산 장려금, 육아 수당,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등. 하지만 출산율은 계속 떨어졌습니다.
왜일까요? 근본적인 문제를 건드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돈만 준다고 아이를 낳는 게 아닙니다. 주거, 교육, 노동, 성평등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해법은 있을까?
첫째, 주거 안정
청년들이 부담 없이 집을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공공임대주택 대폭 확대, 신혼부부 주거 지원 강화가 필요합니다.
둘째, 일·생활 균형
장시간 노동 문화를 개선하고, 남성의 육아 참여를 늘려야 합니다. 육아휴직을 쓰는 것이 불이익이 아니라 당연한 권리가 되어야 합니다.
셋째, 교육비 부담 완화
공교육을 강화하고 사교육비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대학등록금 인하, 무상교육 확대도 고려해야 합니다.
넷째, 성평등 실현
출산과 육아가 여성만의 몫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책임이 되어야 합니다. 여성의 경력 단절을 막고, 남성도 당당히 육아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야 합니다.
다섯째, 이민 정책 개방
출산율만으로는 인구 감소를 막을 수 없습니다. 외국인 인재를 적극 유치하고,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해야 합니다.
우리는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인구 문제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미 시작되었고,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 변화하지 않으면, 10년 후 대한민국은 지금과 완전히 다른 나라가 될 것입니다.
아이를 낳으라고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아이를 낳고 싶은 사람들이 안심하고 낳을 수 있는 사회는 만들어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 세대의 책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