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에 입문하면 꼭 알게 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바로 ‘장중’과 ‘종가’입니다.
이 두 가지는 주식을 언제 사고팔 수 있는지, 또 하루가 끝날 때 그 주식이 어떤 가치를 갖게 되는지를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오늘은 주식 시장에서의 시간 흐름과 가격 마감에 대한 이야기를 쉽고 자세히 풀어드리겠습니다.
---
1. 장중이란 무엇인가요?
장중(場中)은 주식 거래가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시간대를 뜻합니다. 즉, 주식시장이 열려서 매수·매도 주문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시간입니다.
한국의 정규 장중 시간
-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이 시간 동안은 실시간으로 주가가 바뀌고, 투자자들이 자유롭게 거래를 합니다. 이 때 나타나는 가격을 ‘장중 가격’이라고 합니다.
장중의 특징
- 주가가 계속해서 변동함
- 뉴스, 경제 지표, 기업 공시 등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
- 매수/매도 주문이 실시간으로 체결됨
---
2. 종가란 무엇인가요?
종가(終價)는 주식 시장이 하루를 마감할 때 마지막으로 체결된 주가를 말합니다. 즉, 장이 끝난 뒤 “오늘 이 회사 주식은 얼마로 마감했어요”라고 말할 때 그 가격이 바로 종가입니다.
종가의 중요성
- 하루의 주가 흐름을 대표하는 가격
- 다음 날 시가(시작 가격)나 투자 전략 수립에 활용
- 차트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기준
예시
카카오 주식이 오전 9시에 50,000원으로 시작해서 장중에 51,500원까지 올랐다가, 다시 50,800원으로 떨어졌다면, 마지막 체결 가격인 50,800원이 바로 ‘종가’입니다.
---
3. 장중과 종가의 차이점은?
항목 | 장중 | 종가 |
---|---|---|
의미 | 거래 중 실시간 가격 | 하루의 마지막 거래 가격 |
시간 | 9:00 ~ 15:30 | 15:30에 결정 |
용도 | 실시간 투자 판단 | 차트 분석, 기준 가격 |
변동성 | 크고 유동적 | 고정된 마감 가격 |
---
4.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기
📱 민수 씨의 주식 거래
민수 씨는 장이 열리는 오전 9시 30분에 삼성전자 주식을 10주 샀습니다. 이때 주가는 70,500원이었습니다. 하지만 오후 3시 30분에 시장이 마감되고 나니, 삼성전자의 종가는 69,800원이었습니다.
이 경우 민수 씨가 산 가격은 장중 가격, 하루의 마무리는 종가가 되는 것입니다.
---
5. 장중, 종가 외 알아두면 좋은 거래 시간
① 시간외 종가 거래
- 오후 3:40 ~ 4:00
- 그날 종가로 주식을 사고파는 시간
② 시간외 단일가 매매
- 오후 4:00 ~ 6:00
- 10분 단위로 거래, 익일 주가 예측 가능
③ 장전 시간외 거래
- 오전 8:30 ~ 8:40
- 전일 종가 기준 거래
---
✅ 마무리: 시간을 알면 흐름이 보인다
주식 시장은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아닙니다. 언제 사고, 언제 팔고, 언제 가격을 참고할 것인지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장중은 실시간의 현재, 종가는 하루의 마침표입니다. 이 두 가지를 제대로 이해하면, 주식 거래를 더 똑똑하고 전략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종가를 보고 오늘 시장의 흐름을 판단하고, 장중 가격을 보고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