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시작하면 수익률을 계산하고, 손해를 줄이려 손절매를 고민하고, 물타기를 할까 말까 망설이는 일이 생깁니다.
이 세 가지는 주식 투자에서 **실전에서 반드시 부딪히게 되는 핵심 개념**입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익률, 손절매, 물타기에 대해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1. 수익률이란 무엇인가요?
수익률은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얼마나 벌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간단히 말해, “내 돈이 얼마나 자랐나”를 숫자로 표현하는 거예요.
수익률 계산 공식
(현재 가치 – 투자 원금) ÷ 투자 원금 × 100%
예시
- 100만 원으로 주식을 샀고, 지금 110만 원이 되었어요.
- → 수익률 = (110 – 100) ÷ 100 × 100 = 10%
왜 중요할까요?
- 내 투자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다른 투자 수단과 비교할 수 있음
- 목표 수익률 설정, 포트폴리오 조정에 활용
수익률은 단순히 돈을 얼마나 벌었느냐보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벌었느냐를 판단하게 도와주는 지표예요.
---
2. 손절매란 무엇인가요?
손절매(損切賣)는 손해가 커지기 전에 손실을 감수하고 주식을 파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손해를 끊고 파는 행위’예요.
왜 필요할까요?
-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 다른 더 나은 기회에 자금을 쓰기 위해
- 감정적인 손해 복구 욕심을 피하기 위해
예시
- 민수 씨가 100만 원에 산 주식이 80만 원으로 떨어졌어요.
- 앞으로 더 떨어질 것 같아, 이쯤에서 매도하고 손실을 인정하기로 해요.
- → 이 행위가 바로 손절매입니다.
손절매는 초보자에겐 아깝게 느껴지지만, 숙련된 투자자일수록 잘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
3. 물타기란 무엇인가요?
물타기는 떨어진 주식을 더 사서 평균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손해를 본 상태에서 주식을 추가 매수해, 나중에 주가가 조금만 올라도 손실을 줄이거나 이익을 볼 수 있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물타기 계산 예시
- 1차 매수: 10주 × 10,000원 = 100,000원
- 주가 하락 → 2차 매수: 10주 × 8,000원 = 80,000원
- 총 20주 보유, 평균 매입단가 = (100,000 + 80,000) ÷ 20 = 9,000원
주가가 9,000원까지만 올라와도 본전이 되므로, 손실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
- 회사의 펀더멘털(기초 체력)이 나쁜 경우 → 물타기는 위험
- 무계획적인 물타기 → 손실 확대
- ‘계획된 물타기’는 리스크 관리에 도움
---
4. 세 가지 전략 비교
항목 | 수익률 | 손절매 | 물타기 |
---|---|---|---|
정의 | 투자 수익의 비율 | 손해가 커지기 전 매도 | 하락한 주식을 추가 매수 |
목표 | 성과 측정 | 손실 제한 | 평균 매입가 낮추기 |
위험 | 없음 | 심리적 부담 | 잘못하면 손실 확대 |
---
5. 실전 투자 예시로 이해하기
📱 민수 씨의 주식 이야기
- 삼성전자 10만 원에 매수
- 주가가 8만 원으로 하락
- 민수 씨 선택:
- ① 그냥 버티기 → 손실 지속
- ② 8만 원에 손절매 → 손해 인정하고 다른 종목으로 이동
- ③ 8만 원에 10주 더 매수(물타기) → 평균 단가 낮춤
이처럼 투자자는 각자 상황과 심리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선택하게 됩니다. 중요한 건, 감정이 아니라 논리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
✅ 마무리: 투자란 숫자와 감정을 다루는 기술
수익률은 결과, 손절매는 보호막, 물타기는 전략입니다. 이 세 가지를 제대로 이해하면, 단순히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계획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앞으로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이 개념들을 기억하면서 냉정하고 전략적인 투자자가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