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익률, 손절매, 물타기 – 투자 실력을 키워주는 세 가지 개념

by 허니아니 2025. 7. 3.
728x90
반응형

 

 

주식을 시작하면 수익률을 계산하고, 손해를 줄이려 손절매를 고민하고, 물타기를 할까 말까 망설이는 일이 생깁니다.

이 세 가지는 주식 투자에서 **실전에서 반드시 부딪히게 되는 핵심 개념**입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익률, 손절매, 물타기에 대해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

1. 수익률이란 무엇인가요?

수익률내가 투자한 돈 대비 얼마나 벌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간단히 말해, “내 돈이 얼마나 자랐나”를 숫자로 표현하는 거예요.

수익률 계산 공식

(현재 가치 – 투자 원금) ÷ 투자 원금 × 100%

예시

  • 100만 원으로 주식을 샀고, 지금 110만 원이 되었어요.
  • → 수익률 = (110 – 100) ÷ 100 × 100 = 10%

왜 중요할까요?

  • 내 투자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 다른 투자 수단과 비교할 수 있음
  • 목표 수익률 설정, 포트폴리오 조정에 활용

수익률은 단순히 돈을 얼마나 벌었느냐보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벌었느냐를 판단하게 도와주는 지표예요.

---

2. 손절매란 무엇인가요?

손절매(損切賣)손해가 커지기 전에 손실을 감수하고 주식을 파는 것입니다. 말 그대로, ‘손해를 끊고 파는 행위’예요.

왜 필요할까요?

  •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 다른 더 나은 기회에 자금을 쓰기 위해
  • 감정적인 손해 복구 욕심을 피하기 위해

예시

  • 민수 씨가 100만 원에 산 주식이 80만 원으로 떨어졌어요.
  • 앞으로 더 떨어질 것 같아, 이쯤에서 매도하고 손실을 인정하기로 해요.
  • → 이 행위가 바로 손절매입니다.

손절매는 초보자에겐 아깝게 느껴지지만, 숙련된 투자자일수록 잘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

3. 물타기란 무엇인가요?

물타기떨어진 주식을 더 사서 평균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손해를 본 상태에서 주식을 추가 매수해, 나중에 주가가 조금만 올라도 손실을 줄이거나 이익을 볼 수 있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물타기 계산 예시

  • 1차 매수: 10주 × 10,000원 = 100,000원
  • 주가 하락 → 2차 매수: 10주 × 8,000원 = 80,000원
  • 총 20주 보유, 평균 매입단가 = (100,000 + 80,000) ÷ 20 = 9,000원

주가가 9,000원까지만 올라와도 본전이 되므로, 손실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

  • 회사의 펀더멘털(기초 체력)이 나쁜 경우 → 물타기는 위험
  • 무계획적인 물타기 → 손실 확대
  • ‘계획된 물타기’는 리스크 관리에 도움

---

4. 세 가지 전략 비교

항목 수익률 손절매 물타기
정의 투자 수익의 비율 손해가 커지기 전 매도 하락한 주식을 추가 매수
목표 성과 측정 손실 제한 평균 매입가 낮추기
위험 없음 심리적 부담 잘못하면 손실 확대

---

5. 실전 투자 예시로 이해하기

📱 민수 씨의 주식 이야기

  • 삼성전자 10만 원에 매수
  • 주가가 8만 원으로 하락
  • 민수 씨 선택:
    • ① 그냥 버티기 → 손실 지속
    • ② 8만 원에 손절매 → 손해 인정하고 다른 종목으로 이동
    • ③ 8만 원에 10주 더 매수(물타기) → 평균 단가 낮춤

이처럼 투자자는 각자 상황과 심리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선택하게 됩니다. 중요한 건, 감정이 아니라 논리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

✅ 마무리: 투자란 숫자와 감정을 다루는 기술

수익률은 결과, 손절매는 보호막, 물타기는 전략입니다. 이 세 가지를 제대로 이해하면, 단순히 주식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계획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앞으로 주가가 오르든 내리든, 이 개념들을 기억하면서 냉정하고 전략적인 투자자가 되어보세요!

728x90
반응형